맨위로가기

아시카가 요시히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카가 요시히사는 1465년에 태어나 1489년에 사망한 일본 무로마치 막부의 제9대 쇼군이다. 그는 8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며, 오닌의 난 이후 쇠퇴한 막부의 권위를 회복하려 노력했다. 1473년 쇼군직을 물려받아 9대 쇼군이 되었으며, 오미국 슈고 롯카쿠 다카요리를 토벌하기 위해 군사를 이끌었으나, 롯카쿠 다카요리의 저항으로 장기간 오미에 머물렀다. 그는 측근 정치를 펼치고 주색에 빠져 정치를 소홀히 하여 권력 약화를 초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요시히사에게는 후사가 없어 사촌 동생 아시카가 요시키가 10대 쇼군으로 즉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카가 요시마사 - 오닌의 난
    오닌의 난은 1467년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후계자 문제로 시작되어 동군과 서군으로 나뉘어 11년간 교토를 중심으로 벌어진 대규모 내전이며, 아시카가 막부의 권위를 무너뜨리고 센고쿠 시대의 시작을 알린 사건이다.
  • 아시카가 요시마사 - 히노 도미코
    히노 도미코는 무로마치 시대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정실로, 막부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오닌의 난 권력 다툼 개입, 쇼군 후계자 옹립 역할 수행, 막부 좌지우지, 민중 반발 야기 등 논란의 중심에 섰던 인물이며, 후지와라 도미코로 불렸다는 주장도 있고 다양한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 1465년 출생 - 숙용 심씨
    숙용 심씨는 조선 성종의 후궁으로, 개국공신 심덕부의 증손녀이며 경순옹주, 숙혜옹주, 이성군, 영산군을 낳았고, 1515년에 사망하여 묘표가 국내로 반환되었다.
  • 1465년 출생 - 요한 테첼
    요한 테첼은 독일 도미니코회 수사이자 로마 가톨릭교회의 면죄부 판매 대리인으로, 과장된 면죄부 판매 방식으로 마르틴 루터의 반발을 사 종교 개혁의 발단이 되는 95개조 반박문이 나오게 된 주요 원인이 되었다.
  • 1489년 사망 - 어유소
    어유소는 1434년에 태어나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고 공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했으며, 건주위 정벌 중 유배되기도 했지만 이조판서 등을 지내고 성종을 호종하다 사망하여 정장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489년 사망 - 월산대군
    월산대군은 조선 세조의 장손이자 덕종의 맏아들, 성종의 친형으로, 뛰어난 문장과 예술적 재능을 지녔으나 왕위 계승에서 밀려난 후 풍류로운 삶을 살며 시와 《풍월정집》 등의 저서를 남겼다.
아시카가 요시히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시카가 요시히사
아시카가 요시히사
이름아시카가 요시히사
원어 이름足利 義尚
출생1465년 12월 11일
사망1489년 4월 26일 (향년 25세)
사인전사
묘소교토시가미교구의 쇼코쿠지
계명조토쿠인덴 에쓰잔 도치
요시히사, 요시테루(요시테루)
이명기히사, 기키
가문아시카가 씨 (아시카가 쇼군 가문)
관직
관위종1위, 내대신, 우근위대장, 정2위
추증 관위태정대신
쇼군 재임 기간1473년 - 1489년
가족 관계
아버지아시카가 요시마사
어머니히노 도미코
배우자히노 가쓰미쓰의 딸
자녀딸 1명
형제자매교잔 슈슌, 남자, 고잔 쇼슌, 요시히사, 도켄 도잔, 요시카쿠
기타 정보
아시카가 요시히사의 서명
아시카가 요시히사의 서명
다음 쇼군아시카가 요시타네(※ 일설에 의하면 요시히사의 양자)

2. 생애

1465년(간쇼 6년) 11월 23일, 제8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히노 도미코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들이 없었던 요시마사는 동생 요시미를 양자로 삼았으나, 요시히사가 태어나자 도미코는 그를 차기 쇼군으로 삼고자 야마나 소젠과 결탁했다. 이에 요시미는 호소카와 가쓰모토와 결탁하여, 차기 쇼군 자리를 둘러싼 격렬한 대립은 오닌의 난으로 이어졌다. 1473년 요시마사에게 쇼군 직을 물려받아 제9대 쇼군에 취임했다.

오닌의 난 이후, 하극상 풍조로 막부 권위는 크게 쇠퇴하였다. 요시히사는 쇼군 권력 확립에 힘써 1487년 롯카쿠 다카요리를 토벌하려고 오미로 출진하였다(조쿄・엔토쿠의 난). 다카요리는 게릴라전을 전개했기 때문에 요시히사는 오미 마가리(현 시가현 릿토시)에서 장기간 진중에 머물렀다. 마가리의 진소는 실질적으로 쇼군 어소로서 기능하였다. 1487년 개명하여 '''요시히로'''라 칭하였다.

롯카쿠 정벌로 막부 권력은 일시적으로 회복되었으나, 요시히사는 점차 주색과 문약에 빠져 정치를 등한시하게 되었다. 1488년에는 총애하는 유키 히사토요를 오미 슈고에 임명하는 등 측근을 중용하여 정치를 일임하였기 때문에 막부 권력이 전횡되는 결과를 낳았다. 1489년 오미 마가리의 진중에서 병사하였다. 향년 25세. 사인은 과도한 주색에 따른 뇌일혈로 여겨진다.

요시히사에게는 후사가 없었으므로 사촌 동생인 아시카가 요시키(후의 아시카가 요시타네)가 요시마사의 양자가 되어, 1490년 제10대 쇼군에 취임하였다.

아시카가 요시히사 관직 역임 기록
날짜관직
1473년(분메이 5년) 12월 19일정이대장군 취임, 제9대 쇼군 즉위. 정오위하좌중장
1474년(분메이 6년) 6월 10일종사위하
1475년(분메이 7년) 1월 28일미마사카 곤노모리 겸임
1475년(분메이 7년) 4월 19일정사위하
1475년(분메이 7년) 9월 17일참의, 좌중장 여원
1476년(분메이 8년) 1월 6일종삼위
1477년(분메이 9년) 1월 6일정삼위
1479년(분메이 11년) 1월 5일종이위
1480년(분메이 12년) 3월 29일권대납언 임명
1483년(분메이 15년) 3월 21일(또는 22일)종일위
1484년(분메이 16년) 12월 23일겐지 장자, 양원(장학원·준화원) 별당
1485년(분메이 17년) 8월 28일우근위대장 겸임
1486년(분메이 18년) 1월 5일우마료 어감
1488년(조쿄 2년) 9월 17일내대신 임명, 대장 여원
1489년(조쿄 3년) 3월 27일태정대신 추증



전 아시카가 요시히사상(덴류지 소장)


아시카가 요시히사 목상(도지인)

2. 1. 출생과 쇼군 계승

1465년(간쇼 6년) 11월 23일, 제8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히노 도미코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오랫동안 아들을 얻지 못했던 요시마사는 동생 요시미를 양자로 삼았으나, 요시히사가 태어나자 후계 구도를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었다.[8] 도미코는 요시히사를 차기 쇼군으로 만들기 위해 유력 슈고 다이묘 야마나 소젠과 결탁했고, 이에 요시미는 간레이 호소카와 가쓰모토와 결탁하여 양측은 격렬하게 대립했다. 이 대립은 하타케야마 씨와 시바 씨 가문의 가독 분쟁과 맞물려 오닌의 난(1467년 ~ 1477년)으로 이어졌다.

1473년(분메이 5년) 12월 19일, 요시마사로부터 쇼군직을 물려받아 9세의 나이로 제9대 쇼군에 취임했다. 같은 날, 원복을 치르고 '''요시히사'''라 칭했다. 가관은 아버지 요시마사였다. 취임 당시에는 아직 9세였기 때문에, 정무는 요시마사·도미코 부부와 도미코의 오빠인 히노 가쓰미쓰가 중심이 되어 행했다.

2. 2. 롯카쿠 정벌과 막부 권위 회복 시도

오닌의 난 이후, 하극상 풍조로 인해 막부의 권위는 크게 쇠퇴하였다. 요시히사는 쇼군 권력 확립에 힘을 쏟아, 1487년(조쿄 원년) 9월 12일 공가와 사찰 등의 소령을 압령한 오미국 슈고 롯카쿠 다카요리를 토벌하기 위해 여러 다이묘와 호코슈(奉公衆) 등 약 2만 명의 군세를 이끌고 오미로 출진하였다(조쿄・엔토쿠의 난).[1] 다카요리는 간논지 성(観音寺城)을 버리고 고카(甲賀)로 도주했으나, 각지에서 게릴라전을 전개했기 때문에 요시히사는 사망할 때까지 약 1년 5개월 동안 오미 마가리(鈎, 현 시가현 릿토시)에 장기간 진을 쳐야 했다(마가리의 진). 그 때문에 마가리의 진소는 실질적으로 쇼군 어소로서 기능하여 교토에서 구게와 무가 등이 방문하는 등 화려한 의례가 이루어졌다.[1] 1487년(조로쿠 원년), 요시히사는 개명하여 '''요시히로'''라 칭하였다.

롯카쿠 정벌로 막부 권력은 일시적으로 회복되었으나, 요시히사는 점차 주색과 문약에 빠져 정치와 군사를 돌아보지 않게 되었다.[1]

2. 3. 측근 정치와 한계

1487년(조쿄 원년) 9월 12일, 롯카쿠 다카요리를 토벌하기 위해 직접 군사를 이끌고 오미국으로 출진하여 롯카쿠 정벌을 단행했다. 이로 인해 막부 권력은 일시적으로 회복되는 듯했다.[10] 그러나 요시히사는 점차 주색과 문약에 빠져 정치를 등한시하게 되었다.[10]

1488년(조로쿠 2년)에는 총애하는 유키 히사토요(結城尚豊)를 오미 슈고에 임명하는 등 측근들을 중용하여 정치를 맡겼다. 하지만 이는 측근들의 전횡을 초래하여 오히려 막부 권력이 약화되는 결과를 낳았다.[10]

요시히사의 측근과 호코슈는 오미 지역의 사찰령을 병량료소 명목으로 압령하기도 했다. 이는 장원 영주들의 반발을 샀고, 결국 아버지 아시카가 요시마사가 개입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했다. 요시히사는 막부 권한이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 했으나, 결과적으로 요시마사의 정치적 발언권만 부활시키는 꼴이 되었다.[10]

2. 4. 요절과 사후

1489년(조쿄 3년) 3월 26일, 아시카가 요시히사는 오미국 마가리(鈎, 현 시가현 릿토시)의 진중에서 25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1] 사인은 과도한 주색으로 인한 뇌출혈로 여겨진다.[11]

요시히사에게는 후사가 없었으므로, 사촌 동생(요시미의 아들)인 아시카가 요시키(후의 아시카가 요시타네)가 요시마사의 양자가 되어(일설에는 요시히사의 양자라고도 한다) 1490년(엔토쿠 2년)에 제10대 쇼군에 취임하였다.

요시히사의 유해는 간레이 호소카와 마사모토와 어머니 도미코에 의해 보호받으며 교토로 돌아왔는데, 그 행렬은 마치 개선 장군과 같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3. 연호

4. 평가 및 일화

아시카가 요시히사는 이치조 가네요시에게서 정치와 와카를 배워 문화인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14세 무렵부터 와카 모임을 자주 개최할 정도로 와카에 열심이었다.[8]

어머니 히노 도미코의 지나친 간섭으로 도미코를 피하려 했고, 아버지 아시카가 요시마사와는 측실 문제로 대립하여 만도코로 집사 이세 사다무네의 저택으로 이사하기도 했다. 이후 요시마사도 히가시야마 산장(지쇼지)으로 거처를 옮기는 등, 아시카가 가문은 가정 내 불화가 심했던 것으로 보인다.

쇼군 취임 당시에는 막부 권력 회복에 힘쓴 명군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만년에는 주색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8]

사후, 유해는 간레이 호소카와 마사모토와 어머니 도미코의 보호 아래 귀환했으나, 개선 장군의 대열로 귀환했다는 기록이 있다. 요시히사는 준나인과 쇼가쿠인 양 원의 벳토(別当)에는 취임했으나, 겐지 장자 임명의 선지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정식 겐지 장자는 아니었다.[8]

요시히사의 출생에 관하여 고쓰치미카도 천황의 사생아라는 소문이 있었다. 오닌의 난 당시, 천황은 쇼군 어소로 피난했는데, 이때 요시마사와 불화했던 히노 도미코와의 관계가 소문난 것이다.[8]

4. 1. 긍정적 평가

이치조 가네요시에게 정치와 와카를 배우는 등, 문화인으로서 소양이 높았다.[8] 14세 무렵부터 와카 모임을 자주 주최할 정도로 와카에 능통했다.

'''녹발 쇼군'''(緑髪将軍)이라 불릴 정도로 아름다운 외모를 지녔다고 전해진다. 옛 기록에는 '''용안이 매우 아름답고 흠 없는 옥 같은 자태'''라고 묘사되어 있다.[8]

4. 2. 부정적 평가

아시카가 요시히사는 만년에 유우키 마사타네 등 일부 측근에게 정치를 맡겨 전횡을 초래하고, 막부 권력을 약화시켰다는 비판을 받는다.[8] 이치조 가네요시는 요시히사의 측근 중용에 대해 "근신자를 잘 골라야 할 것"이라고 간언했다고 한다.[8] 또한, 요시히사는 만년에 주색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았다는 기록도 남아있다.[8]

4. 3. 기타 일화


  • 이치조 가네요시에게서 정치와 와카를 배우는 등, 문화인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와카에 열심이어서 14세 경부터 와카 모임을 자주 열었다.[12]
  • 어머니 히노 도미코는 사사건건 요시히사에게 지나치게 간섭했기 때문에, 요시히사는 도미코를 피하려 했다고 전해진다. 아버지 아시카가 요시마사와는 측실 문제로 대립하여, 요시히사는 만도코로 집사 이세 사다무네의 저택으로 이사했다. 그 후 요시마사도 히가시야마 산장(지쇼지)으로 거처를 옮기는 등, 아시카가 가문은 가정 내 불화가 심했던 것으로 보인다.
  • 아름다운 용모로 '''녹발 쇼군'''(緑髪将軍)이라 불렸다. 옛 기록에 따르면 '''용안이 매우 아름답고 흠 없는 옥 같은 자태'''라고 한다.[12]
  • 쇼군 취임 당시에는 막부 권력 회복에 힘쓴 명군으로 기대를 받았으나, 만년에는 유키 마사타네・히사토요 형제 등 일부 측근에게 막정을 맡겨 측근의 전횡과 쇼군 권력 약화를 초래했다. 이치조 가네요시는 요시히사의 측근 중용에 의구심을 품고 '근신자를 잘 골라야만 할 것'을 간했다고 한다.[12] 또한 만년에는 주색에 빠져 '물과 술만을 마시며 생활하는 이상한...'이라는 기록이 남아 있다.[12]
  • 사후, 유해는 간레이 호소카와 마사모토와 어머니 도미코의 보호 아래 귀환했으나, 개선 장군의 대열로 귀환했다는 기록이 있다.[12]
  • 요시히사는 준나인과 쇼가쿠인 양 원의 벳토(別当)에는 취임했으나, 겐지 장자 임명의 선지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정식 겐지 장자는 아니었다.[12]
  • 요시히사의 출생에 관하여 고쓰치미카도 천황의 사생아라는 소문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오닌의 난 당시, 천황은 쇼군 어소로 피난했기 때문에 요시마사와 불화했던 히노 도미코와의 관계가 소문난 것에 따른 것이다.[12]


5. 헨기를 받은 인물


  • 고노에 히사미치(近衛尚通)
  • 구조 히사쓰네(九条尚経)
  • 니조 히사모토(二条尚基)
  • 간주지 히사아키(勧修寺尚顕)
  • 유키 히사토요(結城尚豊)
  • 하타케야마 히사요리(畠山尚順)
  • 호소카와 히사하루(細川尚春)
  • 다테 히사무네(伊達尚宗)
  • 야마나 히사유키(山名尚之)
  • 호소카와 히사쓰네(細川尚経)
  • 가사이 히사노부(葛西尚信)
  • 오다치 히사우지(大舘尚氏)

6. 관련 작품


  • 참고: 1991년 NHK 대하드라마 - 태평기 (배우: 쓰루타 시노부)는 원문에 등장하지 않아 제외됨.

참조

[1] 서적 Lessons from History: The Tokushi Yoron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3]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4] 문서
[5] 서적 https://books.google[...]
[6] Kotobank 足利義尚
[7]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 株式会社三省堂
[8] 서적 足利義政 戎光祥出版 2024-05
[9] Kotobank 受衣 2023-11-04
[10] 문서 東山殿足利義政の政治的位置付けをめぐって 文理閣
[11] 서적 三好長慶
[12] 간행물 歴史読本スペシャル 特別増刊「臨終の日本史その死の瞬間」 新人物往来社
[13] 서적 史蹟あつた 泰文堂 1962-10-25
[14] 학술지 出陣影の研究 上―地蔵院本は足利義尚像なること― https://tobunken.rep[...] 東京文化財研究所 2023-11-15
[15] 웹사이트 絹本著色騎馬武者像(伝足利尊氏像)(けんぽんちゃくしょくきばむしゃぞう) https://www.pref.aic[...] 愛知県 2022-04-24
[16] 문서 花押の中世的展開
[17] 문서 足利義尚御判御教書と鈎の陣
[18] 서적 足利義政 戎光祥出版 2024-05
[19] 서적 足利義政 戎光祥出版 2024-05
[20] 문서
[21] 서적 戦国時代の貴族 講談社学術文庫
[22] 웹사이트 室町幕府9代・足利義尚――遠征の末に倒れた将軍 https://blog.kojodan[...] 2021-05-27
[23] 문서
[2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